건강정보 다리까지 저릿한 엉덩이 통증, 이상근 증후군 증상 및 치료 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은 드물게 나타나지만, 엉덩이와 다리 통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종종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기 쉽습니다. 이는 포착성 신경병증의 일종으로, 엉덩이 깊은 곳에 있는 이상근이 비정상적으로 긴장하거나 비대해져 그 아래를 지나가는 좌골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좌골신경의 분포 부위를 따라 통증, 무감각, 이상감각, 위약감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허리 통증 환자 중 약 5~8%에서 이상근 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어, 둔부 및 하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진단할 때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이상근 증후군 증상

이상근 증후군의 초기 증상은 주로 엉치 부위의 심한 통증이며, 이 통증은 하지와 발로 전이되는 방사통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환자는 통증으로 인해 보행의 어려움을 겪거나 걸음걸이가 바뀌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요추간판 이상(디스크), 척추 후관절 증후군, 천장관절 부전증, 근근막통증 증후군 등 다른 임상 증상과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특히, 천장 부위 및 고관절 부위의 통증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진단 방법

이상근 증후군의 진단은 임상적인 판단이 가장 중요하며, 특정 검사에서 명확한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근전도 검사 (EMG): 자세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 압박의 유무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영상 검사 (CT, MRI): 종종 압박의 원인이 되는 이상근의 비대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 골스캔: 드물게 염증 반응으로 인해 방사성 물질의 섭취가 증가된 소견을 보일 수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 병력, 그리고 이상근을 자극하는 특정 신체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이상근 증후군 치료 방법
대부분의 이상근 증후군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호전될 수 있으며, 치료는 보존적 치료부터 침습적 치료까지 단계적으로 접근합니다.
1. 보존적 치료
물리치료: 이상근 스트레칭, 근육 이완 요법,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약물요법: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과 염증을 줄입니다.
2. 침습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 고려됩니다.
-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 주사: 통증 부위에 직접 주사하여 진단과 치료에 동시에 도움을 줍니다.
- 수술적 치료: 주사 치료를 3회 이상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재발하거나 호전되지 않을 경우, 좌골신경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기 위한 이상근의 수술적 이완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상근 증후군은 둔부 및 하지 통증이 있을 때 요추, 고관절, 천장관절 등의 질환과 쉽게 혼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