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인대 파열

후방 십자인대는 전방 십자인대의 뒤쪽에 있으며 무릎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주고 관절의 내전 및 외전을 제한하는 안정성의 역할을 하며 전방 십자인대 보다 두껍고 약 두배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인
대부분 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무릎관절이 뒤틀리며 내측, 외측, 전방으로 심하게 꺽이는 경우 발생됩니다. 즉, 경골에 대해 대퇴골이 골곡, 외전 및 내전 되거나 슬관절의 과신전(과도한 꺽임) 때에 인대 또는 경골 부착부가 손상됩니다.
축구, 스키, 레스링, 유도 등의 종목에서 빠른 속도로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전환 또는 상대방 선수와 충돌시, 점프 후 착지할 때, 교통사고 시 발생합니다. 이때, 십자인대 뿐만 아니라 무릎 내측, 외측에 위치한 인대 또는 반월판 손상도 같이 일어납니다.
증상
- 십자인대 파열의 자가 증상은 운동을 하다가 딱 하는 느낌과 함께 관절이 붓고 통증이 동반된다.
- 무릎 부상 후 불안정한(무릎의 전,후 움직임) 느낌이나 혹은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이 든다.
- 의자에 앉아서 무릎에 힘을 줄 경우 뒤로 빠졌던 무릎이 앞으로 나오는 것을 본인도 관찰 할 수 있다.
자가 증상이 있을 시 병원에서 방사선 검사로는 알 수 없지만 MRI 촬영이나 이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되면서 일상생활 및 어느 정도의 운동이 가능 해지기 때문에 병원에 가지 않고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무의식적인 일상생활에서 무릎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듯한 증상을 자주 느끼게 됩니다. 또한 축구나 농구 등의 운동을 하려고 하면 무릎의 아탈구 현상으로 더 많은 재부상이 일어나고 무릎내 다른 중요한 구조물인 반월상연골판, 관절 등에 손상이 발생하여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본원만의 치료법
무릎 인대의 파열 증상의 심하지 않을 경우 보조기 착용 및 석고 고정 등을 실시합니다.
무릎 인대의 파열로 진단이 되었을 경우 일반적인 증상을 조기에 제거하고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대재건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1cm 미만으로 무릎에 구멍을 내어 관절내시경을 집어 넣고 인대 재건술을 실시하여 회복이 빠르고 흉터도 거의 남지 않습니다.
본 내용은 참고자료이며,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