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어린이도 어른도 중요한 성장호르몬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성
장호르몬’입니다.
성장호르몬은 뼈가 길어지고 근 육이 증가하는 것 을 도와 성장을 촉진합니다. 그래서 성장이 활발한 시기에는 이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호르몬은 밤에 많이 분비되 는데, 멜라토닌과 영향이 있습니다. 우리 몸이 밤이 되었음을 인지해야 멜라토닌이 분비되며, 그러면 성 장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주로 밤 10시~ 새벽 2시에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이때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성장호르몬 분비를 도울 수 있는 규칙적이고 적정한 강도의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 도 필요합니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뛰어노는 것이 성장기에는 중요한 것입니다.
그런데 ‘성장호르몬’은 성장기 아 이들에게만 필요 한 것도 아니고 성장기에만 분비되는 호르몬이 아 닙니다. 성장호르몬은 평생에 걸쳐 우리의 몸이 건 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미 성장이 끝난 어른들에게 ‘성장호르몬’은 왜 중 요할까요? 성장호르몬은 각 조직 기관의 성장, 지 방분해, 근육 생성, 대사질환, 노화 예방, 면역력 등 과 연관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적절한 근육의 질과 양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우리 신체 장기들도 근 육이고, 적절한 힘 과 탄 력 을 유지해야 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 다. 혈관의 탄성도 떨어져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도가 올라갑니다. 또 근육이 균형 있게 잘 유지되지 못하면 근감소증, 근골격계 질환이나 대사성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 성장호르몬은 뼈를 단단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데, 20대 중반에 최대로 튼튼했던 뼈는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게 됩니다. 뼈는 골 형성과 골 손실이 균형 있게 이루어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 균형 이 깨지고 손실이 더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골 밀도가 낮으면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은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부족하면 골다공증으로 이어 지는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근육은 단백질과 연관이 많은데, 성장호르몬의 주 성분 역시 단백질입니다. 질 좋은 단백질을 충분히 잘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의 하루 권장 량은 체중 1kg당 1g입니다. 체중이 60kg라면 단백 질 60g이 하루 권장량인 것입니다. 우유는 2L, 소 고기는 450g, 콩은 220g 정도 되어야 하는 양이 니 먹는 것으로 다 섭취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하 지만 이는 ‘권장’하는 것이고 실제로는 더 많은 단백 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무 작정 먹기보다 단백질의 흡수율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연이나 식물성 인지질 이 함유된 식품이 도움이 됩니다.

근육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을 떨어지게 하고 피 부 탄력이 떨어지면 주름이 많아져 노화 예방을 위 해서도 필요합니다.
성장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적절히, 자연스럽게 계 속 분비될 수 있도록 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 운동 등으로 건강을 관 리하는 만큼 건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은 뼈가 길어지고 근 육이 증가하는 것 을 도와 성장을 촉진합니다. 그래서 성장이 활발한 시기에는 이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호르몬은 밤에 많이 분비되 는데, 멜라토닌과 영향이 있습니다. 우리 몸이 밤이 되었음을 인지해야 멜라토닌이 분비되며, 그러면 성 장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주로 밤 10시~ 새벽 2시에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이때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성장호르몬 분비를 도울 수 있는 규칙적이고 적정한 강도의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 도 필요합니다. 잘 먹고 잘 자고, 잘 뛰어노는 것이 성장기에는 중요한 것입니다.
그런데 ‘성장호르몬’은 성장기 아 이들에게만 필요 한 것도 아니고 성장기에만 분비되는 호르몬이 아 닙니다. 성장호르몬은 평생에 걸쳐 우리의 몸이 건 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미 성장이 끝난 어른들에게 ‘성장호르몬’은 왜 중 요할까요? 성장호르몬은 각 조직 기관의 성장, 지 방분해, 근육 생성, 대사질환, 노화 예방, 면역력 등 과 연관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적절한 근육의 질과 양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우리 신체 장기들도 근 육이고, 적절한 힘 과 탄 력 을 유지해야 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 다. 혈관의 탄성도 떨어져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도가 올라갑니다. 또 근육이 균형 있게 잘 유지되지 못하면 근감소증, 근골격계 질환이나 대사성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 성장호르몬은 뼈를 단단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데, 20대 중반에 최대로 튼튼했던 뼈는 시간이 갈수록 약해지게 됩니다. 뼈는 골 형성과 골 손실이 균형 있게 이루어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이 균형 이 깨지고 손실이 더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골 밀도가 낮으면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은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부족하면 골다공증으로 이어 지는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근육은 단백질과 연관이 많은데, 성장호르몬의 주 성분 역시 단백질입니다. 질 좋은 단백질을 충분히 잘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의 하루 권장 량은 체중 1kg당 1g입니다. 체중이 60kg라면 단백 질 60g이 하루 권장량인 것입니다. 우유는 2L, 소 고기는 450g, 콩은 220g 정도 되어야 하는 양이 니 먹는 것으로 다 섭취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하 지만 이는 ‘권장’하는 것이고 실제로는 더 많은 단백 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무 작정 먹기보다 단백질의 흡수율을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연이나 식물성 인지질 이 함유된 식품이 도움이 됩니다.

근육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을 떨어지게 하고 피 부 탄력이 떨어지면 주름이 많아져 노화 예방을 위 해서도 필요합니다.
성장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적절히, 자연스럽게 계 속 분비될 수 있도록 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 운동 등으로 건강을 관 리하는 만큼 건강을 얻을 수 있습니다.





Webzine구독신청
[지난호보기] 2020년 12월호
[웹진 2020년 12월]
[하늘소식] 성심의 집 지역아동센터 후원
[웹진 2021년 1월]
성심의 집 지역아동센터는 그리스도 사랑의 정신에 따라 성심의 프란치스코수녀회에서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관내의 다문화가정, 저소득가정, 한 부모가정, 결손가정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이용
시설로 교육활동으로는 학습능력향상, 적기적성교육(기타, 우쿨렐레, ...
[건강정보] 소금의 세계(나트륨)
[웹진 2021년 1월]
소금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입니다.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체에게 필수적입니다. 혈액에는 0.9% 정도의 나트륨이 녹아 있는데 이를 적절
히 유지해야 세포의 정상 기능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트륨은 세
포의 삼투압을 조절...
[칼럼] 발목염좌 - 가쪽곁인대손상
[웹진 2021년 1월]
[질환소개]
발목염좌는 관절을 지지해 주는 인대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인대가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를 말합니
다. 흔히 '발목이 삐었다', '접질렸다' 라고 하기도 합니다.
발목 염좌의 90%가 발목이 안쪽으로 꺾이며 균형을 잃어 체중
의 힘에 의해...
[칼럼] 수술받기 전 주의 사항
[웹진 2021년 1월]
우리는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문제로 일생에 한두 번 이상은 수술을 받게 되기도 합니다. 수술을
하는 이유에는 내과적, 외과적, 정형외과적 질환 등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수술 시 받게 되는 마
취는 크게는 전신마취와 척추마취, 이외 기타 부위마취와 수면마취의 형태로...
[지난호보기] 2020년 11월호
[웹진 2020년 11월]
[칼럼] 전방십자인대 손상 원인과 무릎 테이핑 방법
[웹진 2020년 12월]
요즘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취미로 운동 하나씩은 하고 있는데요. 특히 중력을 받으며 하는 운동들인 축구 농구 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스키 등의 종목은 뛰거나 점프 후 착지 동작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외상이 있어도, 특별한 외상 없어도 왜 전방십자인대가 망가질까?...
[칼럼] 발뒤꿈치 통증 원인이 되는 종골 골단염(세버병
[웹진 2020년 12월]
"6~12세 남자 아이들에게많이 발생하는 뒤꿈치 통증"
종골 골단염
초등학생 아이가 양측 뒤꿈치의 통증을 호소하며 진료실로 내원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흔한 질환으로 종골 골단염 (calcaneal apophysitis) 혹은 세...
[건강정보] 선수 재활 트레이닝 팀을 소개합니다.
[웹진 2020년 12월]
하늘병원 부설 스포츠재활센터
환자분들에게 [선수 트레이닝 팀]이란?“ 정확한 동작의 지속적인
티칭과 근육과 관절의올바른 움직임 트레이닝으로
복귀 시기를 단축 시킬 수
있었어요. ”- 아이스하키 신상훈선수“ 부상 선수들에 대해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복귀에 대한 ...
[지난호보기] 2020년 10월호
[웹진 2020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