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무릎 슬개건염 증상 및 치료, 테이핑 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슬개건은 무릎뼈(슬개골)와 정강뼈(경골)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허벅지 근육(대퇴사두근)의 연장된 힘줄입니다.
슬개건염은 이 슬개건 주위에 발생하는 염증, 부분 파열, 퇴행성 변화 등을 통칭하는 질환입니다. 흔히 운동선수, 특히 점프가 많은 종목 선수들에게 자주 발생한다고 하여 '점퍼의 무릎(Jumper's Knee)' 이라고도 불립니다.
주요 슬개건염 원인
- 반복적인 점프 및 달리기 : 배드민턴, 배구, 농구 등과 같이 무릎에 강한 충격이나 부하를 주는 스포츠 활동.
- 반복적인 무릎 사용 : 장시간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는 동작.
무릎 슬개건염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슬개건 주변, 특히 슬개골 바로 아랫부분에 통증과 누를 때의 압통이 나타납니다.
- 해당 부위에 부종(붓기), 열감, 날카로운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뛰거나, 걸을 때, 그리고 다리를 구부리거나 펼 때(무릎 관절 움직임 시) 통증이 심해집니다.
슬개건염 치료는 통증이 심하고 염증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통증 및 염증 조절을 위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
- 체외 충격파 치료는 슬개건염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병변 부위에 충격파를 전달하여 염증을 파괴하고, 정상 조직의 재생 속도를 촉진하는 반응을 유도합니다.집중형 충격파는 심부 조직 깊숙한 환부나 석회화된 조직에 효과적이며, 통증 유발점을 정밀하게 찾아 치료합니다.방사형 충격파는 연부 조직 및 넓은 근육 부위에 효과적이며, 근 섬유 방향을 따라 통증 유발점을 찾아 치료합니다.
무릎 슬개건염 생활 속 예방 수칙
- 운동 전에는 충분한 워밍업과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슬개건의 유연성을 확보합니다.
- 운동 중에는 필요시 무릎 지지대(보호대)를 착용하여 슬개건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 운동 후에는 냉각(쿨링)과 스트레칭을 통해 염증과 부종을 관리합니다.
단단한 표면 위에서의 과도한 스포츠 활동은 자제하여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야 합니다.
무릎 슬개건염 테이핑 방법을 소개합니다.
테이핑은 슬개건 주변을 지지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준비물 키네시올로지 테이프: 약 20cm 길이의 테이프 총 3개 준비.(팁: 테이프 2개의 끝부분을 둥글게 재단하면 부착력이 오래 유지될 수 있습니다.)



- 무릎을 90도로 굽힌 상태에서, 무릎 아래에서 시작하여 무릎뼈(슬개골)의 안쪽과 바깥쪽을 감싸도록 테이핑을 해줍니다.
- 무릎 위에서 시작하여 무릎뼈의 안쪽과 바깥쪽을 감싸도록 테이핑을 해줍니다.
- 무릎 바로 아래 슬개건 부위에 테이프 중간을 먼저 고정한 후, 양쪽으로 당겨 붙여 슬개건을 직접적으로 지지합니다.
테이핑 시 주의사항
- 테이프를 붙일 때 약간 늘리는 것은 괜찮지만, 과도하게 늘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피부가 약한 경우 과도하게 늘릴 시 피부 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 제거 시: 테이프의 접착력이 강하므로, 샤워 시 물과 거품을 충분히 묻혀 피부를 밀어내듯이 천천히 떼어내는 것이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부착 부위가 간지럽거나 따가울 경우 즉시 떼어내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