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질환 1기 고혈압인데 등척성 운동 할때...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1기 고혈압 수축기 150대 이완기 90대에요
전에 부터 근력운동으로 등척성운동을 했는데...
이 운동을 할때 큰 힘을 낸다고 이를 꽉 깨물고 숨을 참고 힘을 쓰면 혈압이 높은 사람한테는 위험할수 있데요.
저산소증이나 심장에 큰 무리가 생길수 있다나요?
그래서 입으로 숫자를 세라는데 그런식으로 하고 있어요.
즉 근육에 힘을 쓸때 하나,둘,셋 이런식으로 숫자를 세요.
이런식으로 하면 별 문제 없을까요?
A
답변자 : 윤기용 상담실장
답변일시 : 2016-12-02 18:48
안녕하세요. 하늘병원입니다.
온라인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지난 6월 경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한 답변을 드린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문의하신 내용과 같아 다시 확인하실 수 있도록 답변을 드립니다.
등척성 운동은 근력이 약한 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적 자세에서 실시하는 만큼 숨을 참으면 혈압이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숨을 참기보다 호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마다 심폐 능력 , 혈압, 분당심박수, 근육의 산소이용률, 활성산소 수치, 체질량, 회복력 등이 다르기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특히 혈압이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의료진 상담 후 상태에 알맞은 운동을 시작하셔야합니다.
고혈압이 있어도 불편을 느끼지 못하여 제대로 된 치료 및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어 여러가지 합병증(심근경색, 심부전, 뇌경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라고 해서 운동이 금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셔야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운동방법이 중요하므로 고강도 운동을 위주로 하기 보다는 유산소 운동을 기본원칙으로 하며 단계별로 무게가 가벼운 저항운동을 반복하여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등척성 운동은 심장 부하를 증가시키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운동 방법이 중요한만큼 운동 시간을 효과적인 범위 내에서 조율 하시는 것도 중요하므로 자신의 운동능력상태를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시간과 운동강도를 체크하고 주3회~4회 30분~60분 정도 운동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또한 운동 전/후 스트레칭이 중요하며 컨디션 회복과 근육 발달을 위하여 충분한 수면을 취하셔야 합니다.
모든 병의 근원은 스트레스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충분한 자기관리와 운동량에 대한 휴식도 필수 입니다.
스포츠의학과 조성연 원장님 진료는 스포츠 검진에 포함된 여러가지 검사( 폐기능검사, 근력검사 , 활성산소테스트 등)를 통하여 운동능력상태를 점검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상담이 가능합니다.
1544-7588 초진상담 및 예약 가능합니다.
문의 감사합니다.
온라인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지난 6월 경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한 답변을 드린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문의하신 내용과 같아 다시 확인하실 수 있도록 답변을 드립니다.
등척성 운동은 근력이 약한 부위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적 자세에서 실시하는 만큼 숨을 참으면 혈압이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숨을 참기보다 호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마다 심폐 능력 , 혈압, 분당심박수, 근육의 산소이용률, 활성산소 수치, 체질량, 회복력 등이 다르기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특히 혈압이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의료진 상담 후 상태에 알맞은 운동을 시작하셔야합니다.
고혈압이 있어도 불편을 느끼지 못하여 제대로 된 치료 및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어 여러가지 합병증(심근경색, 심부전, 뇌경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라고 해서 운동이 금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셔야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운동방법이 중요하므로 고강도 운동을 위주로 하기 보다는 유산소 운동을 기본원칙으로 하며 단계별로 무게가 가벼운 저항운동을 반복하여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등척성 운동은 심장 부하를 증가시키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운동 방법이 중요한만큼 운동 시간을 효과적인 범위 내에서 조율 하시는 것도 중요하므로 자신의 운동능력상태를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시간과 운동강도를 체크하고 주3회~4회 30분~60분 정도 운동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또한 운동 전/후 스트레칭이 중요하며 컨디션 회복과 근육 발달을 위하여 충분한 수면을 취하셔야 합니다.
모든 병의 근원은 스트레스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충분한 자기관리와 운동량에 대한 휴식도 필수 입니다.
스포츠의학과 조성연 원장님 진료는 스포츠 검진에 포함된 여러가지 검사( 폐기능검사, 근력검사 , 활성산소테스트 등)를 통하여 운동능력상태를 점검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상담이 가능합니다.
1544-7588 초진상담 및 예약 가능합니다.
문의 감사합니다.